의성 옥산 사과 작목반 에서는 자연농업 방식으로 사과를 재배하기위해서 효소발효자재(천혜녹즙,(미생물결합체),)를 사용한다.
완성된 효소의 특징은 약간 신맛에 약 알콜 맛 난다
보관을 잘못하면 초산으로 변해버린다(효소로서 가치성이 없음) 효소 완성 후 자외선이 들지 않는 서늘한 장소에 김칫독처럼 땅에 묻어두는 것이 가장 좋다. 초산으로 변하지 않는 한 오래 묵을수록 좋다. 이 내용은 자연농업 자재 만들기 교재 녹즙 만들기 내용이 45P 분량 내용 중에서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 천혜녹즙 ♣ 쑥이나 미나리 같은 식물은 자연이 준 정기를 잘 간직하고 있다.
천혜녹즙은 이런 식물로부터 그 정기를 추출해 무한대로 증식해서 만들어 낸다. 식물은 혈액과 엽록소와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천혜녹즙은 이 가운데 혈액과 엽록소 성분을 추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잎에는 1평방미터당 10만 ~15만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그 3분의 1 이상은 유산균과 효모이다. 따라서 천혜녹즙은 풍부한 유산균과 효모가 함유된 식물 효소액으로 그 자연의 정기는 동물이나 식물에게 영양과 활력을 불어 넣는다.
재료 재료로 쓸 식물은 우선 추위에 강해야 하는데, 그중에서도 이른 봄에 자란 것을 채취해 쓴다.
추위에 잘 견디는 식물은 그 만큼 열이 높다는 것을 뜻하므로, 저온에서도 뿌리의 활동이 활발해 냉해를 입지 않는다. 이런 종류의 식물로는 쑥, 미나리, 맥류, 크로바 등이 있다.
또 생장점의 성장이 빠른 식물일수록 좋다. 생장점이 잘 자라는 식물은 성장 호르몬이 활발히 분비되고 정력이 강하다.
따라서 연약한 체질을 건강하게 바꾸어 주거나 종묘를 기르는 데 활용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생장점이 잘 자라는 식물로는 죽순, 칡넝쿨, 고구마 넝쿨, 오이, 호박, 메론, 수박등을 꼽을 수 있다.
세 번째로 마디 사이가 길고 씹으면 단맛이 나는 줄기를 중심으로 하되, 그 계절에 무성하게 자라는 식물의 줄기를 쓴다.
엽록소가 포함된 모든 줄기가 이에 해당되는데 종류가 많을수록 좋다. 다만 감잎은 냉기를 내고 귤잎은 신맛이 있어 여기에 함께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좋지만, 감잎으로 만든 액을 감에, 귤잎으로 만든 액을 귤에 줄 수는 있다.
채취시기 및 시간
재료는 각 계절별로 그 시기에 나는 식물을 채취해 쓴다.
특히 중요한 것은 그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인위적으로 재배한 식물은 자연산을 도저히 채취할수 없을 때에 한해 사용한다. 채취시간은 이슬이 마르기 전인 이른 아침이 좋다. 식물은 광합성작용과 이화작용을 하는데 태양이 떠서 질 때까지의 낮 시간에는 광합성작용이 생리를 주도하고, 태양이 진 뒤부터 다음날 아침 다시 태양이 뜰 때까지는 이화작용이 주도한다.
즉, 식물이 영양분을 가장 많이 축적하고 정력에 넘쳐있는 시간은 아침 해가 뜨기 전이다. 그래서 옛부터 소는 이슬 묻은 풀을 먹어야 잘 자란다는 말까지 있다. 아침 이슬에 젖어 생기에 넘쳐있는 이때가 재료를 채취하기에 가장 적당한 시간인 것이다.
발효방법
채취한 재료는 물에 씻지 않고 그대로 흑설탕에 절군다.
흑설탕의 양은 재료의 수분함량에 따라 달리한다. 수분이 많을 때는 그 무게의 2분의 1, 적을 때는 3분의 1정도를 기준으로 하되 계절에 따라 조금씩 조절하는 것이 좋다.
용기는 항아리나 삼나무로 만든 통이 좋다.
재료가 준비되면 바닥에 종이를 깐 뒤, 재료를 그 위에 놓고 적당한 분량의 흑설탕을 골고루 뿌린 다음 용기에 집어넣는다. 분량은 용기가 가득 찰 정도면 적당하며, 돌로 눌러 하룻밤을 재우면 용기의 3분의 2 정도로 줄어든다. 돌로 눌러놓는 이유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이므로 재료의 숨이 죽어 가라앉으면 치워 버린다. 재료가 용기에 차면 맨 윗부분에 흑설탕을 덮고, 마지막으로 한지로 뚜껑을 한뒤 서늘한 곳에 놓아둔다. 숙성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이 계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외부 온도가 20`C 전후일 경우 5~7일이면 완성된다.
숙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색깔과 향이다. 재료의 섬유질이 떠오르면서 색깔이 녹색에서 황녹색으로 변하고 달콤한 향기가 나면 숙성이 끝난 상태이르로, 재료를 소쿠리 등으로 걸러 액을 받아낸다. 펌프를 이용해 액만 빨아낼 수도 있다.
숙성된 천헤녹즙은 자외선이 통과되지 않는 용기에 담아 서늘한 곳이나 땅에 묻어놓으면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농작물에는 효과가 가장 강한 숙성후 2~3일 이내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저장할 경우에는 산화되거나 알코올로 변하지 않도록 흑설탕을 더 넣어 농도를 짙게 해두어야 하며, 저장분을 사용할 때는 새로 만든 녹즙에 섞어 사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음료용으로 활용
천혜녹즙은 사람 건강에도 좋다. 쑥과 미나리의 천혜녹즙을 이용해서 변비를 고치고 관절염에 효과를 보았다. 죽순 천혜녹즙으로 허약체질이 회복되었다.
으름과 삼나무 열매의 천혜녹즙으로 간장병이 좋아졌다 등등 실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병 증상에 대해 효과를 보고 있다.
자연농업을 하는 대부분의 농가는 천혜녹즙을 음료용으로 활용하는데. 이렇게 길들여지면 자연 청량음료는 멀어지게 된다.
그러면 청량음료에 많이 들어 있는 인산을 과다섭취할 염려가 없어 체내에 칼슘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는 골다공증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어린아이들에게 천혜녹즙을 먹이면 어려서부터 잔병치레를 하지 않는다. 천혜녹즙이야말로 온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명약 중의 명약이로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천혜녹즙은 몸의 기력(氣力)을 회복시키고 간기능을 강화시키는 데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 같다. 천혜녹즙은 작물의 원기를 회복시키고 말라 죽을 것 같던 수목에도 생명력을 불어넣어 살리는 힘이 있다. 작물뿐만 아니고 기운이 없고 소화력이 떨어진 소, 돼지, 닭에도 현미식초와 함께 먹이면 깜짝 놀랄 정도로 원기가 회복된다. 음료용은 천혜녹즙만으로도 좋으나 현미식초를 혼합하면 몸에 좋고 맛도 상큼하여 먹기가 더 좋다. 농도는 10배 정도를 기준하여 먹어 보고 기호에 따라 양을 조정하면 된다. 아침 저녁 2회 정도 음용하면 건강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고기류를 천혜녹즙에 재서 먹거나 요리에 활용하면 색다른 감미를 맛볼 수 있다.
음료용으로 인간도 원기회복 물론 동물도
여름 타는 데는 그저 그만이다 삼나무 열매는 힘이 장사 여러 가지 만들어서 마시자 녹즙=1에 물4-5배로 희석하여 드십시오 현미식초를 첨가하면 상큼하고 몸에도 좋다. 의성 옥산 사과 재배 기술기획이사 권 영 준
바닷물의 성분
염소(Cl) 19870 은(Ag) 1×10-4 나트륨(Na) 11050 탕그스텐(W) 1.2×10-4 마그네슘(Mg) 1326 안치몬(Sb) 2×10-4 유황(S) 928 클립톤(Kr) 2.1×10-4 칼슘(Ca) 422 세레늄(Se) 4.5×10-4 칼륨(K) 416 ... ( 자농 )
뽕잎(분말) 농촌생활연구소 자료이다. 가식부 100g기준이다. 수분(%) 9.1 단백질(g) 24.2 지질(g) 2.7 당질(g) 44.6 섬유소(g) 9.6 회분(g) 9.8 칼슘(mg) 1050 인(mg) 430 철(mg) 8800 나트륨(mg) 60 칼륨(mg) 5380 비타민A(R.E) 0 레티놀(㎍) 0 베타카로텐(㎍) 0 비타민B1(mg) 0 비타민B2(mg)0 나이아신(mg) 0 비타민C(mg) 0 - 아미노산 - ... ( 운영자 )
쑥(생) 농촌생활연구소의 자료이다. 생숙 가식부 100g을 기준으로 한 영양성분이다 수분(%) 71.9 단백질 (g) 5.3 지질(g) 0 당질(g) 15.3 섬유소(g) 4.7 회분(g) 2.8 칼슘(mg) 230 인 (mg) 65 철 (mg) 4.3 나트륨(mg) 11 칼륨 (mg) 1103 비타... ( 운영자 )
들 미나리 (생것) 농촌생활연구소 자료이다. 들미나리 가식부 100g 기준이다. 에너지(kcal) 16 수분(%) 92.8 단백질(g) 2.2 지질(g) 0.2 당질(g) 2.6 섬유소(g) 1.2 회분(g) 0 칼슘(mg) 55 인(mg) 50 철(mg) 0 나트륨(mg) 18 칼륨(mg) 382 비타민A(R.E) 220 레티놀(㎍) 0 베타카로텐(㎍) 1320 비타민B1(mg) 0.15 비타민B2(mg) 0.16 나이아신(mg) 0.6 비타... ( 운영자 )
새우(자연건조)- 꽃새우 중심 농촌생활연구소 자료이다. 가식부 100g기준이다. . 수분(%) 18 단백질(g) 55.5 지질(g) 5.9 당질(g) 4.1 섬유소(g) 0 회분(g) 16.5 칼슘(mg) 4068 인(mg) 1156 철(mg) 15.6 나트륨(mg)... ( 운영자 )
현미 농촌생활연구소 자료이다. 가식부 100g 기준이다. 이를 바탕으로 쌀겨의 영양성분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 11.67 단백질(g) 7.6 지질(g) 2.1 당질(g) 74.4 섬유소(g) 2.7... ( 운영자 )
들 미나리 (생것) 농촌생활연구소 자료이다. 들미나리 가식부 100g 기준이다. 에너지(kcal) 16 수분(%) 92.8 단백질(g) 2.2 지질(g) 0.2 당질(g) 2.6 섬유소(g) 1.2 회분(g) 0 칼슘(mg) 55 인(mg) 50 철(... ( 운영자 )
쑥(생) 농촌생활연구소의 자료이다. 생숙 가식부 100g을 기준으로 한 영양성분이다 수분(%) 71.9 단백질 (g) 5.3 지질(g) 0 당질(g) 15.3 섬유소(g) ... ( 운영자 )
들깨 (말린것) 농촌생활연구소의 자료이다. 가식부 100g기준이다. 이 자료를 근거로 깸묵의 영향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수분(%) 5.9 단백질(g) 16.9 지질(g) 33.4 당질(g) 11.7 섬유소(g) 28.2... ( 운영자 )
마늘(생것) 농촌생활연구소 자료이다. 가식부 100g기준이다. 수분(%) 86.2 단백질(g) 3.5 지질(g) 0.5 당질(g) 7.6 섬유소(g) 1.4 회분(g) 0.8 칼슘(mg) 32 인(mg) 46 철(mg) 0 나트륨(mg) 10 ... ( 운영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