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기르기

감자 재배 방법(유기농)

남전 2012. 3. 22. 13:17

감자 재배 방법(유기농)

 

감자의 파종 시기가 되어 갑니다.

시기를 놓치지 말고 자신에게 필요한 품종과 재배법을 바로 알고 선택하여 파종하여야 후회

하지 않습니다.

귀농 초보자들을 위해 기술한 자료로 다수확하여 판매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분에게는 맞지

않을수 있으며 본인의 자연농법 방법을 기준으로 전환기 친환경농법으로 응용하여 작성 하

였으므로 각지역의 기후,토질등을 고려하여 재배하기를 권합니다.

각자의 재배방법이나 기술,응용상에서 기술한 내용과 다른 결과가 올 수 있습니다.

낙심치 말고 꾸준히 연구하며 2-3년 재배하다 보면 그 지역과 본인에 알맞은 농법의 노하우

가 쌓일 것입니다.

여러 초보 귀농인들의 귀농의 꿈 이루시기를 희망하며 자료를 정리하여 올립니다.

遷化齋(천화재)에서 安一然 .

  

1.감자품종.

 

.수미

미국에서 도입한 품종을 개량한 것으로 분이 적어 주로 반찬용으로 사용하며 삶아서 식으면

딱딱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선농.

분이 많아 주로 쩌서 먹거나 튀김용으로 그리고 감자전 용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분이 많고 잘 부서저 반찬용르로는 맞지 않습니다.

 

.두백

수미와 선농 두 품종을 교배한 품종으로 수미의 특성과 선농의 특성을 합한 중간 정도로 아

시면 맞습니다.

 

.하령.

농촌진흥청에서 기능성 감자로 개발한 품종으로 맛과 영양소가 뛰어나고 크기가 큰 속노란

감자입니다.

역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친환경 재배가 가능한 품종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늘리 보급되지 않아 씨감자가 20kg8-9만원으로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하령 외에 빛고운감자라는 명명으로 속이 발간 홍영, 보라색인 자영도 샐러드 용으로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2.재배 환경

 

싹자람은 온도 5에 시작되며 최적온도 18~20입니다.

생육적온은 14~23이며 잎과 줄기의 생육 적온은 20정도이고 덩이 줄기 비대적온은

14~24정도입니다.

 

일조가 많으면 동화작용이 왕성하게 되고 잎과 줄기의 조직이 견고해지며 엽록소 형성이

높아져 성숙을 촉진합니다.

일조가 부족하면 잎과 줄기는 웃자라게 되고 조직이 연약해지며 여름재배의 경우 6~7월의

강우로 일조부족에 의한 수량 감소할 수 있으므로 조기 재배하여 7월 상순에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분이 가장 필요한 시기는 덩이줄기 비대기와 출현기이고 감자는 과습보다 비교적 건조한

편이 재배에 유리합니다.

 

3.토양 조건

 

배수와 통기가 양호한 참흙 또는 모래참흙 마사토 등이 좋으며 토양산도 pH 5.0~6.0 정

가 알맞 습니다.

 

4.재배방법

 

.씨감자 싹틔움

 

- 산광최아(散光催芽)로 싹틔우기

 

씨감자를 직사광선이 잘 들어오는 창고나 비닐하우스내에서 짧고 튼튼하게 눈싹을 틔워서

파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방법으로 싹을 틔워 자른 후 파종하면 싹자람이 95%이상 올라와 결구가 없고 초기 생육

이 빨라 수확시기가 빨라지며 늦서리 피해를 경감 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흑지병 등의 병원균을 막아 안전하게 싹자람이 이루어 집니다.

 

 

.재배목적별 싹틔움의 길이.가긴 온도.

 

- 조기재배 : 싹길이 : 2-2.5cm.(30-40일 소요)

- 증수재배 : 싹길이 : 1.5cm 내외(20-30일 소요)

- 만파재배 : 싹길이 : 0.8-1.0cm(10-15일 소요)

 

산광최아의 최적 온도는 15-20이며 28-30이상의 상온 에서는 웃자라 연약해지고

흑색심부병이 발생하므로 온도 관리를 잘 하여야 합니다.

하우스내에서는 낮에는 환기구를 열고 밤에는 닫아 단열하여 주어야 되며 적당한 차광을

하여 주면 좋습니다.

 

습도는 약간 건조한 것이 좋으며 습도가 높으면 웃자람과 썩음병이 발생하고 너무 건조

하면 덩이뿌리의 과도한 수분 손실로 싹틔움이 방해됩니다.

습도 조절을 위해 땅바닥에 비닐을 깔고 프라스틱 상자에 담고 덩이뿌리를 3개 정도 겹치

게 하여주고 수시로 돌려주어 광선이 골고루 받게 해 주면 좋습니다.

 

.씨감자 자르기

 

작은 감자(30~50g)는 통감자로, 중간 이상의 감자는 씨눈을 중앙에 두고 2~3등분하는데

한쪽에 1개 이상의 눈이 있어야 하고 절단면이 가급적 적게 자릅니다.

파종 10일 전에 절단 정아부에서 기부쪽으로 자르고 짚을 태운 재를 묻혀 바이러스의 침입

을 막고 온도 17~18, 습도 70~80%의 조건에서 4~7일 정도 두면 절단면의 치유가 이루

어 집니다.

 

※ 감자 자르는 방법 

   물을 끓임→칼을 끓는 물에 넣어 소독한 다음 찬물에 한 번 담궜다 꺼낸다→눈이 2~3개

   있도록 감자를 자른다 → 감자를 한 번 자른 후 다시 칼을 끓는 물에 넣어 소독한 다음

   찬물에 다시 담궜다 꺼낸다 →감자를 자른다→끓는 물, 찬 물에 넣다 꺼낸 후 감자를 자르

   는 과정을 반복한다 →감자 절단 면을 생석회나 재를 발라 상처를 치유시킨다.

 

.포장(圃場, 재배지) 준비

 

잘 완숙된 퇴비를 10a 1-1.5톤 살포한 후 경운기나 관리기 트랙터 등으로20이상 심경

합니다.

포장의 정지는 땅이 마른 후 파종 하루전 또는 당일에 하고

멀칭은 겨울재배(투명PE필름),여름, 가을재배(흑색PE필름)시 할수 있습니다.

 

5.작형별 재배방법

 

.봄 재배

 

- 싹틔움상 설치는 정식 전 20~25일전(2월 중하순)

- 재식 거리: 이랑폭 60~75(2골폭 40~50주간거리 20~30

- 시비량   : 완숙퇴비 300평당 1-1.5.

- 화학비료 사용 시 감자 전용비료 1

- 북주기 작업 : 새순이 15cm 정도 자랐을때부터 북주기를 2회 정도 실시하여야 파랑감자

                    발생이 없으며 배수가 원활해 수확량이 많아 집니다.

 

생육초기와 덩이줄기 비대기까지는 건조하지 않도록 관수하여 주고 후기에는 약건하게 유지

하여 비가 올 시 물빠짐이 좋게 하여야 합니다.

 

. 가을 재배

 

- 파종기 : 8월 중하순

- 품 종  : 휴면기간이 짧은 2기작 품종(대지) 선택

- 최아상 설치 : 8월 상중순 모래를 깔고 씨감자 절단면이 밑으로 향하게 놓고 모래 덮음.

                    (최아 기간:10~15)

- 재식거리 : 70×20(6,600/10a)

- 시비기준(N-P-K-퇴비) : 15-10-12-1,50 ~2,000/10a

- 북주기 작업 : 2회 실시

 

6.수확.

 

파종한 시기별로 차이가 있음으로 적기인 하지 전후에 수확하고 최소한 장마 전까지는 수확

을 마쳐야 합니다.

수확이 늦어지면 감자가 썩고 바이러스의 침범으로 흑반점병이 생깁니다.

캘 때에는 상처가 나지 않도록 수확하여야 썩음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감자는 크기별로 상,,하로 분리하고 상품은 반찬으로 중품은 삶거나 구이용으로 쓰고

하품은 졸여 먹거나 전분을 내리면 좋습니다.

 

하령감자 재배시 유의사항

 

하령 감자는 병에 매우 강해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량이

많고 맛이 좋아서 농가소득을 크게 올릴 수 있는 식용감자로 인기가 매우 높다.

하령 감자는 2005년 육성된 이후 그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대관령 진부,밀양, 당진 등 일부

지역에서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지난해부터 중북부지역의 일부농가에

보급해 현재 약 100ha에서 재배되고 있다

중북부지역에서 재배되는 하령 감자는 일반 감자보다 고온에 민감하게 반응해 수확하기도

전에 땅속감자에서 싹이 나거나 속이 비는 생리장해가 발생해 감자를 안전하게 생산하는데

차질을 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농촌진흥청은 중북부지역에서 하령 감자의 봄 재배시에 파종깊이 조절과 적량 시비를 통해

수확시 이차생장 발생을 줄여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재배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봄 감자를 재배 할 때는 5~10cm 깊이로 파종하고 있으나

하령은 괴경의 생장이 고온에 매우 민감해 약 15cm 정도로 깊게 파종해야만 감자에서 싹이

나는 이차생장 증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령은 잎줄기의 생장이 일반 감자보다 비교적 오랫동안 지속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비료를 토양검정에 의한 기준치 이상으로 과다하게 살포하면 땅속의 감자가 굵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차생장의 발생이 약 3050%까지 발생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하령은 중북부지역에서 여름장마 이후의 고온기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이차생장

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7월 상순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은데 그러기 위해서는 비료를 적량

살포한 밭에 싹틔우기를 충분히 한 씨감자를 15cm 정도로 깊게 파종하고 멀칭 재배를 하는

것이 가장 좋다.

- 그런데 색이들어 있는 감자 종자는 어디서 구입할 수 있나요?

 

 
처음 재배하시면 두백등 저렴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시고 농사가 잘되시면 그때 기능성

감자를 시도 하십시요.
홍영이나 자영을 아직 구할 수는 있지만 1kg에 5,000원 이상으로 가격이 높습니다.
7-8월 수확기에는 저렴함으로 검색창에 품명을 검색하시면 많이 판매함으로 그때 구입

하셔서 저장 했다가 내년에 파종 하십시요.
꼭 필요하시면 품명을 검색해 보시면 대관령과 진부쪽에 1곳 아직 씨감자 남아있는 곳이

있을 겁니다.

- 씨감자는 대관령등 해발800m 이상에서 재배된 것을 해발 다운시켜 심으시면 퇴화되지

않고 잘 됩니다.
자가채종한 씨감자를 한 곳에서 계속해서 심으면 크기가 점점 작아 집니다.
2-3년에 한번식 800m 이상의 것으로 바꾸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매년12월경 각지역 농업 기술쎈타에 구입신청하면 3월에 대관령감자 연구소에서 채종한

종자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 아니 비닐 피복을 했는데 어떻게 북주기를 합니까?

 

비닐 피복한 감자는 북을 주지 않습니다. 헛골에 풀만 제거해 주면 됩니다.

북을 주는 경우는  비닐피복을 하지 않고 재배할 때의 얘깁니다.

 

'채소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마 재배  (0) 2012.03.23
씨감자/동시(童詩)  (0) 2012.03.22
황토유황 만드는 방법  (0) 2012.03.22
열무보약 만들기  (0) 2012.03.22
유황농법과 기 식품에 대해서   (0) 201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