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셔온 글)쑥갓 재배법| 농장게시판 은휘 조회 134 |추천 0 | 2007.04.10. 21:30
학명 : Chrysanthemum coronarium L.
원산지 : 지중해 연안
영명 : Garland Chrysanthemum
1) 특성 : 지중해 연안지방이 원산지인 쑥갓은, 유럽에서는 관상용으로, 인도 등 아시아 지역 에서는 채소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는 조선초에 재배된 기록이 있다.
쑥갓은 향이 독특하고 맛이 산뜻해서 쌈용으로 인기가 있으며, 소화가 잘되는 알카리성 식품으로 옛날부터 위를 따뜻하게 하고 장을 튼튼하게 하는 채소로 이용 되어왔다.
쑥갓은 칼슘과 카로틴의 함량이 많고, 특히 비타민A·C가 높아 건강채소라고도 한다.
2) 재배관리요령
* 밭준비 - 유기질 비료를 충분히 시용한 다음, 20~25cm간격으로 파종골을 낸다.
* 파 종 - 줄뿌림 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밀식하지 않도록 종자간격이 2~3㎝ 정도 되게 뿌린다.
* 솎아주기 : 두 번 솎을 것을 염두에 두고 포기사이가 5∼6cm가 되도록 솎아줌 나중에는 10cm간격으로 남겨둔다.
* 복토(흙덮기) - 종자를 너무 두텁게 덮어주면 발아가 늦어질 수 있으므로 1㎝ 이내로 덮어준다.
* 물주기 - 토양 내에 항상 적절한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록 물을 준다.
* 관 리 - 수분이 너무 과다하면 묘종이 웃자라고 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수분 관리에 유의하고, 영양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4종 복합비료로 엽면시비 하도록 한다.
* 수 확 - 쑥갓은 파종 후 30일 이후부터 수확이 가능한 데, 본엽이 5-10매 정도 일 때 또는 초장이 10~15㎝ 정도일 때 수확한다.
포기가 제대로 자리를 잡아 자랄 때는 필요할 때마다 순지르기하듯이 밑에서부터 끊어 딴다. 그러면 그 자리에서 또 싹이 나 자라므로 계속 수확을 할 수가 있다.
3) 재배시 유의사항
- 쑥갓은 흡비력이 강한 작물이므로 유기질 비료를 많이 넣어 재배한다.
- 밀식재배를 피하여 주시고 솎음질을 하여 주간거리를 넓혀 통풍이 잘되도록 관리한다.
-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병충해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관리에 유의한다.
- 망사 또는 한랭사를 씌워 재배하며 해충이나 진딧물을 예방할 수 있어 신선한 쑥갓을 수확할 수 있다.
- 진딧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파종 후 2~3주경에 목초액 500배 이상을 1~2회 뿌려 주면 도움이 된다.
파종시기 : 년중(여름 제외)
수확시기 : 파종 후 30일 이후 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