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기르기

시금치 재배

남전 2012. 2. 29. 18:03

(모셔온 글)시금치 재배


1) 특성과 재배환경

○ 온도

- 시금치는 내한성이 강하고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반면 더위에 약하다.

- 발아와 생육적온 15~20℃, 20℃ 이상이면 생육이 나빠지고, 25℃가 넘으면 생육이 극히 불량해진다.

- 저온에는 강하여 겨울 동안에는 0℃ 이하에서도 월동한다.

- 대표적인 장일 식물로 햇빛이 길어짐에 따라 꽃대가 빨리 생긴다.

  --> 봄 재배 또는 여름 재배는 생육 기간이 짧아진다.

○ 토양 적응성은 넓은 편, 사질토나 점질토에서도 적당한 토양수분이 유지되면 잘 자란다.

- 그러나 토양이 산성이 되면 생육불량, pH5.5 이하에서는생장정지, 고사한다.

- 토양산도는 pH 7~8 정도가 알맞다.


2) 가꾸는 시기

- 봄 재배    : 파종 2월 하순~3월 중순, 수확 4월 하순~5월 하순

- 여름 재배 : 파종 6월 상순~하순, 수확 7월 중순~8월 말

- 가을 재배 : 파종 9월 상순~하순, 수확 10월 하순~3월 말


3) 가꾸기

○ 파종

- 시금치의 뿌리는 비교적 땅속 깊이 자라므로 땅을 고르기 전에 깊이 간다. - 종자는 흩어뿌리기나 줄뿌림한다.

- 시금치는 두둑 높이 15cm, 두둑 넓이 90cm, 고랑 40cm 로 만든다.

○ 거름주기

- 짧은 시간 동안 빠르게 자라므로 밑거름에 중점

- 웃거름도 작형에 따라서 1~3회 줌.

○ 거름 주는 양

- 3.3m2 당 요소 180g, 용성인비 100g, 염화가리 70g, 석회 0.7kg, 퇴비 5kg 

- 요소 60%, 염화가리 30%를 웃거름으로 주고 나머지는 모두 밑거름

○ 솎아주기

- 어릴 때는 촘촘히 재배하는 편이 발육이 좋고 생육함에 따라 솎아준다.

- 싹이 튼 후 1주일쯤에 약간 솎음, 2주일쯤에 포기사이를 4~5cm 간격으로 솎아준다.

   본 잎 6~7매 시 포기 사이가 좁으면 품질과 생육이 나빠지므로 크게 자란 것부터 솎음질한다.

○ 물주기

- 가뭄이 심할 경우 스프링클러나 관수장비를 이용하여 적극적 관수한다.


4) 수확하기

- 파종에서 수확까지 기간 : 봄 40일, 여름 30~35일, 가을 파종 50~60일,

- 수확기가 늦어지면 추대하여 줄기의 마디사이가 길어지고 잎자루가 굳어져서 품질이 떨어진다.


5) 병해충 방제

○ 모잘록병 : 어릴 때 많이 발생, 특히 온도가 높은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 병든 부위가 잘록하게 되어 넘어진다.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하며, 파종하기 전에 종자와 토양을 소독 해주는 것이 좋다.

○ 노균병 : 잎 표면에 담황색 또는 청백색의 병반이 생기고, 잎 뒷면에는 담자색 및 쥐색의 곰팡이가 생긴다.

                 피해가 심한 경우 잎 전체가 황백색으로 되어 말라죽는다. 발병초기에 피해 포기를 뽑아 준다.

○ 해   충 : 응애, 진딧물, 도둑나방

'채소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무 재배  (0) 2012.03.02
부추 재배  (0) 2012.03.01
감자재배  (0) 2012.02.29
쑥갓 재배  (0) 2012.02.29
홍화 재배  (0) 201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