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기르기

홍화 재배

남전 2012. 2. 28. 17:56

(모셔온 글)홍화씨는 우리나라에서 재배 되고 있습니다.

두 곳의 농장에서 가져 온 내용입니다.

 

* 가시홍화씨 *

http://www.tghonghwa.net/

 

심는시기- 3월중순에 파종 8월초쯤에 수확합니다.

● 물빠짐이 좋은 논이나 밭을 고릅니다.

● 물빠짐이 좋지 않으면 싹 틔우기가 힘이 듭니다.

● 너무 기름진 땅 보다는 오히려 척박하고 거름 기가 없는 땅에서 나는 것이 수확 량은 적지만 약성은

   좋습니다.

● 준비된 땅에 유황과 유기질 퇴비 특히 인분이 좋습니다

● 유황을 100평당 10~20kg 정도를 뿌립니다.

● 유황을 뿌리는 이유는 토양을 소독함과 동시에 유황을 뿌린 홍화는 병해충에도 강하고 씨앗의 약성이

    더욱 더 강해집니다.

● 유황을 너무 과다하게 뿌리면 홍화싹이 말라죽는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 유황이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밭을 곱게 갑니다.

● 두둑을 지어서 비닐로 덮어 줍니다.

● 비닐위에 구멍을 뚫어 한구멍에 홍화씨를 4-5 개를 3-4cm깊이로 손가락으로 눌러 넣고 그 위에는

   되도록 부드러운 흙으로 덮습니다.

● 20일 정도 있으면 20cm 정도의 싹이 나오면 솎아냅니다.

● 한구멍에서 많은 포기가 나올 경우 나머지 포기에 나오는 씨앗이 알차지 않습니 다.

● 솎아주기 갯수는 2-3개 정도 놔두고 나머지는 뽑아 줍니다.

● 해충은 진딧물이 제일 많이 피해를 많이 받습니다.

● 진딧물은 홍화의 영양분을 다 빨아먹기 때문에 이때에는 목초액에 식초를 섞어서 뿌려줍니다.

● 꽃이 처음에는 노란색 꽃이 피어납니다.

● 차츰 붉은 빛으로 바뀌어진 뒤 까맣게 말라붙습니다.

● 줄기가 누렇게 변했을 때가 수확할 알맞은 때입니다.(보통 7월 말이나 8월 초).

● 낫으로 줄기 밑둥을 묶어 비가 맞지 않도록 하여 말린 후에 탈곡합니다.

● 탈곡은 콤바인이 제일 좋습니다.

● 아니면 발로 밟아서 쓰는 수동 탈곡기를 이용합니다.

● 홍화씨는 잘 말려야 장기간 두어도 벌레가 생기지 않습니다.

● 햇볕이 좋을 때 하루쯤 잘 말려서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합니다.

● 홍화씨는 쥐가 좋아 하기 때문에 쥐피해를 입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유황홍화씨 재배법 *

http://www.hongwha21.net/

 

첫째 좋은 땅 고르기

홍화씨를 심는 시기는 3월 중순에 파종 8월초쯤에 수확을 합니다.

먼저 홍화가 잘 자랄 수 있는 물 빠짐이 좋은 논이나 밭을 고릅니다. 물 빠짐이 좋지 않으면 싹 튀우기가 힘이 듭니다. 홍화씨는 너무 기름진 땅 보다는 오히려 척박하고 거름기가 없는 땅에서 나는 것이 수확량은 적지만 약성은 더욱더 좋습니다.

 

둘째 유황뿌리고 밑거름 주기

준비된 땅에 유황과 유기질 퇴비(특히 인분이 좋습니다)를 먼저 뿌려줍니다. 이 떄 유황을 100평당 10-20kg 정도를 뿌립니다.

유황을 뿌리는 이유는 토양을 소독함과 동시에 유황을 뿌린 홍화는 병해충에도 강하고 씨앗의 약성이 더욱더 강해집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유황을 너무 과다하게 뿌리면 홍화싹이 말라죽는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셋째 씨앗 뿌리기

유황이 골고루 잘 섞이도록 밭을 곱게 갈아 두둑을 지어서 비닐로 덮어 줍니다.

비닐 위에 구멍을 뚫어 한구멍에 홍화씨를 4-5개를 3-4cm깊이로 손가락으로 눌러 넣고 그 위에는 되도록 부드러운 흙으로 덮습니다.

20일 정도 있으면 20cm 정도의 싹이 나오는 데 여기에서 솎아주기를 해야 됩니다.

이유는 한구멍에서 많은 포기가 나올 경우 나머지 포기에 나오는 씨앗이 건실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솎아주기 개수는 2~3개정도를 두고 나머지는 뽑아 줍니다.

 

넷째 병충해 막기

지금부터는 홍화씨의 성장과정에서는 별 신경쓸 게 없습니다.

성장기에는 홍화의 병해충은 진딧물이 제일 많이 피해를 많이 받습니다.

진딧물은 홍화의 영양분을 다 빨아먹기 때문에 이때에는 목초액에 식초를 섞어서 뿌려줍니다.

 

다섯째 수확과 탈곡

꽃이 처음에는 노랗게 피었다가 차츰 붉은 빛으로 바뀌어진 뒤 까맣게 말라붙고 줄기가 누렇게 변했을 때가 수확할 알맞은 때입니다.(보통 7월말이나 8월초).

낫으로 줄기 밑둥을 깻단 묶듯이 묶어 비가 맞지 않도록 하여 말린 후에 탈곡합니다.

탈곡은 콤바인이 제일 좋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재래식 벼 탈곡기나 발로 밟아서 쓰는 수동 탈곡기를 이용합니다.

 

여섯째 보관방법

홍화씨는 잘 말려서 보관해야 오랫동안 두어도 벌레가 생기지 않습니다.

햇볕이 좋을 때 하루쯤 잘 말려서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합니다.

특히 홍화씨는 쥐가 좋아 하기 때문에 쥐피해를 입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홍화재배 ****

달구지 2010.07.10 08:14 http://blog.daum.net/shim6572/16975822

 

토질 : 우리나라 여러 지역 중 적당한 습도가 있고 온도가 알맞은 중부이남이 재배의 최적지라고 한다. 좀 더 제한적으로는 한초라서 밭이라야 되고 황토질이 제일 좋으며 황토를 객토한 밭에서는 홍화가 더욱 잘 자란다.

가뭄은 타지 말아야 좋고 배수가 잘 되어야 좋다. 홍화 재배는 옥토는 박토이고 박토는 옥토이다.

 

종자 : 5가지 품종 중에서 티가 작달막하고 잎이 갈라지지 않으며 꽃씨 송이에 가시가 많은 품종과 키가 크고 잎이 갈라지며 가시가 많은 품종 2가지만이 약성이 좋다.

 

유황살포 (파종 뒤부터 수확 때가지) : 농업용 유황을 평당 1~2홉을 골고루 2~3회 나누어 뿌려서 밭고랑을 만든다. 파종 전에 반드시 유황을 뿌려야 한고 황토(생토)에는 한 홉, 옥토에는 두 홉을 뿌린다.

지나치게 많이 뿌리면 성장이 되지 않는다.

유황을 뿌리는 이유는 유황성분을 홍화가 흡수하여 씨앗의 약성을 강하게 해주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거름 : 인분이 제일 좋고 완숙퇴비를 적당량 써야 한다. 화학 비료는 약성이 떨어지고 농사를 망치는

        수가 많다.

 

파종시기 : 남부지방은 3월말이 적기고 중부지방은 4월초가 적기이다. 해동이 완전히 되고 나서 온도,

        습도가 알맞으면 자연적으로 싹이 올라온다.

 

파종 : 보통 형태의 밭고랑을 만들고 산파하는 것이 좋다. 김 매면서 수세 좋은 것만 두고 솎음질을

        두세 차례한다. 직립식이니 뿌리가 수직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온상 육모나 폿트 육모는 좋지 않다.

 

수세 : 포기와 포기사이는 20~30cm정도가 제일 적당하다. 밀식시키면 수확량은 조금 늘어날지 모르나

        약성이 떨어진다.

 

농약 : 병충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농약이 필요 없다. 다만 진딧물이 성장기에 약간 있기는 하지만 저절

        로 없어진다. 심한 경우에는 담배잎 삶은 물이나 생선비린내(어성초도 좋다)나는 것으로 살포하면

        된다. 성장기에 1번만 뿌리면 된다.

 

김매기 : 제초제를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전멸한다. 2~3년 전에 제초제를 사용했던 밭에도 안 된

        다. 호미나 괭이로 김매면서 북도 돋아주고 수세 약한 놈을 솎음질하면서 김매기를 2~3번 매준다.

 

지주 : 꽃이 피면서 몸이 무거워지니까 장마철에 비바람이 몰아치면 죄다 넘어지기 때문에 고추지주 같이

        세우거나 나일론 줄을 양쪽으로 치고 중간 중간에 말뚝을 박아서 동여매면 된다.

 

꽃 : 꽃은 처음 필 때는 노랗게 피었다가 며칠 만에 붉은색으로 변하는 게 신비롭고 아름답다.

      다만 꽃잎을 사용하기 위하여 채집하면 씨가 옳게 영글지 않는다.

 

가시 : 아침이나 저녁 이슬이 있을 때는 가시에 힘이 없어서 찌르지 않지만 낮에는 대단히 아프게 찌르므

        로 조심해야 한다.

 

수확 : 생산량보다는 품질이 중요하다. 수확 시기는 대개 양력 7월말이나 8월초쯤 되기 때문에 장마와

        태풍에 대비하여야 한다. 수확기의 홍화는 비를 안 맞도록 해야 하며 꽃잎 속에서 씨가 잘 영글도

        록 통풍에 신경 써야 한다. 한 송이 한 송이 따서 탈곡해도 된다.

        깻단 같이 묶어서 비를 맞히지 말고 완전히 영글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비를 맞으면 씨알이 시커멓게 되어 약성이 떨어지며 심하   면 꽃송이 속에서 싹이 나기도 해서

        한  해 농사를 망치는 수도 있으니 각별히 수확에 신경을 써야 한다.

        많을 땐 벼 수확하는 콤바인으로 해도 된다.

 

보관 : 쥐와 새를 조심해야 하고 일반 곡식과 같이 보관하면 된다.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과욕은 금물이다.

'채소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금치 재배  (0) 2012.02.29
감자재배  (0) 2012.02.29
쑥갓 재배  (0) 2012.02.29
텃밭 손질 요령  (0) 2012.02.28
채소 파종시기 및 장소  (0) 201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