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식량
|
|
|
|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벼줄기굴파리, 벼애잎굴파리, 벼잎굴파리, 이화명나방, 혹명나방, 벼밤나방, 멸강나방, 벼물바구미, 벼잎벌레, 끝동매미충, 가시점둥글노린재, 미디표주박긴노린재, 개미허리노린재, 벼잎선충 |
|
보리굴파리, 보리수염진딧물, 보리나방 |
|
콩나방, 세줄콩들명나방, 콩줄기명나방, 콩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콩씨스트선충 |
|
큰28점박이무당벌레, 감자나방, 왕담배나방, 복숭아혹진딧물 | |
|
과수
|
|
|
|
사과혹진딧물, 조팝나무진딧물, 복숭아심식나방, 매실애기잎말이나방,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은무늬굴나방, 사과굴나방, 사과응애, 점박이응애
|
|
조팝나무진딧물, 배나무면충,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순나방, 배명나방, 가루깍지벌레, 콩가루벌레, 사과알락나방, 배나무방패벌레
|
|
주머니깍지벌레, 감꼭지나방, 긴솜깍지벌레붙이, 볼록총채벌레, 애기유리나방, 뿔밀깍지벌레, 관총채벌레
|
|
포도박각시, 두점박이애매미충, 볼록총채벌레, 포도호랑하늘소, 포도유리나방
| |
|
노지채소
|
|
배추,무,양배추 |
|
가지,토마토 |
|
오이,수박,참외 |
|
딸기 |
|
파,양파,마늘
| |
|
명주달팽이, 무테두리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무잎벌, 배추벼룩잎벌레,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도둑나방, 파밤나방, 배추흰나비, 양배추가루진딧물, 검은무늬밤나방
|
|
점박이응애, 차응애,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큰28점박이무당벌레, 거세미나방류, 도둑나방, 온실가루이, 담배나방, 감자수염진딧물, 청동방아벌레, 감자나방
|
|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 온실가루이, 목화바둑명나방, 파밤나방, 호박과실파리
|
|
딸기잎선충, 들민달팽이, 점박이응애, 차응애, 딸기뿌리진딧물, 딸기꽃바구미
|
|
뿌리응애, 파총채벌레, 참검정풍뎅이, 애우단풍뎅이, 파좀나방, 파밤나방, 파굴파리, 고자리파리, 씨고자리파리
| |
|
시설채소
|
|
배추,무
|
|
오이,참외,수박, 호박,메론 |
|
고추,피만
|
|
가지,토마토,감자
|
|
딸기
| |
|
민달팽이, 들민달팽이, 쥐며느리, 배추바구미, 크로바응애, 목화진딧물, 무테두리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무잎굴파리, 배추좀나방, 파밤나방
|
|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온실가루이, 목화바둑명나방, 파밤나방, 뿌리혹선충류,
|
|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온실가루이, 뿌리혹선충류
|
|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차응애,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감자수염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
|
점박이응애, 차응애, 딸기눈선충, 딸기잎선충, 뿌리혹선충류, 뿌리썩이선충류, 딸기뿌리진딧물, 애못털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 |
|
화훼 |
|
|
|
온실가루이,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귤가루깍지벌레,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아메리카잎굴파리, 민달팽이, 들민달팽이,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뿌리혹선충류, 뿌리썩이선충류 |
|
목화진딧물, 국화꼬마수염진딧물, 국화하늘소,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아메리카잎굴파리, 국화잎혹응애, 점박이응애
|
|
온실가루이, 파밤나방,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아메리카잎굴파리
|
|
찔레수염진딧물, 주둥무늬차색풍뎅이, 미국흰불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왕담배나방, 장미등에잎벌, 점박이응애
| |
| |
|
|
|
 |
 나비와 나방이 여기에 속하는데 과수해충으로는 나방이 훨씬 많다. 나방류중에 심식충류는 상품이 되는 과실의 내부를 식해하므로 항상 문제가 되며, 흡수나방류는 야간에 성충이 날아와 다 익은 과실의 표피를 찢고 흡즙하고, 유리나방류는 줄기 내부를 가해하여 굴을 만들므로 정상적인 발육이 저해된다.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가해형태는 잎을 가해하는 것으로 전체를 섭식하는 자나방, 밤나방, 쐐기나방 등과 엽육 속을 가해하는 굴나방등이 대표적이다. |
|
|
 |
 신초의 잎이나 가지 등 식물체 여러 부위에 부착하여 흡즙가해하는 종류로서 진딧물과 깍지벌레 등 중요한 해충이 많은 분류군이다. 가해형태를 보면 매미류와 같이 산란흔을 통해 가지에 피해를 주는 종류, 포도뿌리혹벌레같이 뿌리를 가해하여 벌레혹을 만드는 것, 진딧물과 같이 신초에 집단으로 부착, 가해하여 바이러스병이나 그을음병을 일으키는 것, 깍지벌레같이 줄기에 부착, 깍지를 쓰고 가해하는 종류 등이 있다. |
|
|
 |
 앞날개가 딱딱하게 변하여 비행시에 방향타 구실을 하는 종류로서 지구상의 곤충중 가장 종류가 많은 분류군으로 알려져 있다.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해충으로는 유충이 나무 속의 목질부를 가해하며 굴을 뚫는 하늘소나 나무좀, 잎을 섭식하는 풍뎅이, 꽃이나 잎에 피해를 주는 거위벌레, 바구미류 등이 있다. |
|
|
 |
 여치, 귀뚜라미, 땅강아지 등이 속하는데 과수에서 문제가 될 정도로 경제적 피해를 우발하는 종류는 없다. |
|
|
 |
 매미목과 형태적으로 아주 비슷하지만 앞날개의 절반이 딱딱한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가해양식은 매미목과 비슷하며, 약충과 성충이 식물체 조직속에 구기를 찔러 넣고 즙액을 흡수하는데 과실에 가해하여 변형이나 낙과를 유발하는 썩덩나무노린재 등이나 배나무방패벌레 등과 같이 잎에 가해하는 종류가 있다. |
|
|
 |
 대부분은 천적류에 속하나 허리가 두터운 잎벌류나 밤나무에 혹을 만드는 혹벌류, 배나무의 신초를 가해하는 배나무벌 등은 해충에 속한다. |
|
|
 |
 곤충은 아니지만 화학적 방제에 의해 생태계의 균형이 깨어진 상태에서 빨리 증식하여 식물체를 흡즙 가해하므로 방제측면에서는 해충으로 취급하고 있다. 크게 점박이응애, 사과응애 등과 같이 잎에서 흡즙가해하는 잎응애류와 잎에 혹을 형성하는 혹응애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들은 빈번한 약재 사용에 의해 저항성이 쉽게 유발되어 방제에 어려움이 크다. |
|
|
 |
 위의 해충 이외에도 총채벌레목과 파리목의 여러 해충들이 과수에 문제를 유발한다. 특히 총채벌레는 몸이 아주 작으므로 쉽게 발견하기 어려워서 피해를 인지했을 경우에는 이미 상당한 피해를 받은 경우가 많다. |
출처 : http://www.naas.go.kr/pisy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