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셔온 글)마 재배방법
- 토양의 조건
둥근마는 단일성 작물로서 생육적온은 25~30℃ 4월경 평균지온이 12℃ 가 되면 발근이 시작되고
20℃전후인 5월 중순경부터 출아된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우리나라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나
9월경 부터 밤낮의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둥근마는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되며 유기물 함량이 많은 참흙이나 모래참흙에서 잘 자란다.
물빠짐이 나쁘면 괴경이 부패하기 쉽고 찰흙이나 자갈이 많은 토양에서는 괴경 모양이 나쁘며 상품성이
떨어진다.
둥근마는 일반마와 같이 영양번식으로 하지만 영여자 생산이 어려워 주로 감자와 같이 괴경번식을 주로
하고 있다. 괴경번식은 저장된 종마를 4월 상순경에 꺼내어 50g내외로 절단하여 2~3일간 그늘에서 말린
후 소석회로 분의처리한다.
- 시비 방법
둥근마를 재배할 포장은 3월 중하순경 10a 당 퇴비 3000kg, 고토석회 200kg을 살포하고 밑거름으로는
질소 35kg , 인산 25kg , 칼리 32kg을 기준시비량으로 하고 질소와 칼리는 40%를 지효성비료나 추비로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비를 사용한 후 경운 작업을 하여 두둑을 설치한다. 이때 파폭을 100cm 로 하고 두둑을 70cm 배수로
30cm 비율로 두둑높이는 30cm 정도 높게 하여 배수구 정비를 철저히 하고 토양 여건에 따라 비닐피복
이나 볏짚을 피복한다.
- 정식 요령
11월에 성숙한 마는 월동기간 휴면기에 들어가 4개월이 지난 3월경이면 활동기가 되어 온도와 수분을 주면
생육을 시작한다.
4월 중순경 평군지온이 12℃가 되면 발아하기 시작하는데 이 시기에 맞추어 정식하면 된다.
재식거리는 30cm 간격으로 하여 절단면이 위로 해서 심고 표피부위가 흙과 잘 밀착되도록 가볍게 누르고
3cm 정도 복토한다. 복토가 너무 두꺼우면 발아가 고르지 못하고 부패의 원인이 된다.
- 지주의 높이
둥근마를 재배할 때는 반드시 지주를 세워 줄기가 타고 오를 수 있게 해야 한다.
지주의 높이가 낮으면 초기 생육이 좋으나 후기에 생육이 떨어져 수량이 감소하고 병해충의 발생이 많으며,
지주가 너무 높으면 후기 생육이 계속되어 지상부만 무성하게 자라고 강풍에 의한 덩굴의 절손등으로 수확
감소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주의 높이는 1.5m정도가 적당하며, 지주재료는 대나무나 철재를 활용하고 오이망이나 비닐끈을 이용하여
줄기를 유인하여야 한다. 5월 중순부터 줄기가 출현하기 시작하는데 대부분 포기당 1개의 맹아가 출현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2~3개의 맹아가 출현하면 빠 른시기에 1개만 남기고 제거하고 덩굴의 신장을 방치하지
말고 유인작업을 하여 고사하지 않게 주의해야한다.
- 수분 관리
둥근마의 덩굴은 6월부터 신장하기 시작하여 8월 상순경 개화기에 최고로 번무하여 10월 중순부터 황변
되기 시작 10월 하순부터 11월에 초에 낙엽이 지는 것이 건전한 생육이라고 할 수 있다.
생육중에 토양중이 수분함량은 둥근마의 비대 및 모양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주의를 하지 않으면 낭패를
볼 수 있으므로 점적관수 시설을 하여 맹아기인 6월에 적당한 관수를 실시 줄기출현을 유도하고 비대기인
8~9월 하순까지는 건조의 변동이 없게 하여 항상 수분을 유지시켜 괴경비대를 유도한다.
10월 이후에 토양수분은 수량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시기에 관수는 오히려 둥근마의 부패를 초래
하므로 유의해야한다. 추비는 뿌리의 생육이 왕성한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까지 2회에 걸쳐 N - K 비료를
10a당 15kg 씩 1주일 간격으로 2회에 걸쳐 시용한다.
둥근마 재배에서 가장피해를 주는 해충은 토양선충이다.
선충의 피해를 받으면 마의 품질이 나빠지고 수량도 감소한다. 연작지에서는 선충의 밀도가 심해지므로 윤작
을 하고 선충발생이 우려되는 토양에서는 파종전에 카보입제를 살포하면 효과적이다.
둥근마의 주요 병해는 탄저병과 시들음병응로 6월 하순부터 8월 상순에 발병되기 시작하는데 장마 전후로
하여 예방위주로 살균제를 살포하여 준다.
- 수확과 저장
10월 하순부터 11월 상순에 경엽이 고사한 시기에 수확작업이 시작되는데 이때 둥근마의 표피는 황색에서
황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한다. 수확작업은 먼저 지주와 지상부 덩굴을 제거하고 굴취기나 삽을 이용하
여 둥근마의 괴경이 상처나지 않게 수확하여 선별 저장한다.
저장은 저온저장고를 이용 4~5℃에서 저장하고 0℃이하에서는 냉해를 받아 부패하고 10℃이상에서는 발아
되므로 온도와 습도에 주의해 관리한다.
마는 우리나라 산이나 들에 자생하며 또한 재배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마는 열대지방의 마보다 낮은 온도에 잘 견디도록 진화된것들이며 식물학적으로
분류하면 참마, 마, 부채마, 단풍마, 왕마, 털부채마 등이 있다.
재배마는 덩이 뿌리 모양에 따라 장마, 단마(대화마), 불장마로 나누기도 하는데 단마는 덩이뿌리가 짧아
수확이 간편하고 수량성도 많다.
전국 어디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토질은 흙살이 깊고 물이 잘 빠지며 부식이 많은 식양토나 사양토에서
잘 자라며 물빠짐이 나쁘면 덩이뿌리가 부패하기 쉽고 질흙이 많은 곳에서는 덩이뿌리 비대와 수확이
어렵다.
번식하는 방법은 잎겨드랑이에서 주아(珠芽)가 생기는데 이것을 영여자(零余子)라 하며 이것을 영양번식
용으로 이용한다. 또한 절편마를 육묘하여 이식하게 되는데 덩이뿌리를 쪼개 심어서 모종을 기르는 방법
이며 덩이뿌리를 쪼갤때는 반듯이 눈을 붙여서 쪼개야 하며 자른 조각은 클수록 어린식물이 충분한 양분
을 흡수할수 있어 튼튼하게 자라고 수량도 많으나 씨뿌리 소요량이 많아지므로 절편마의 크기는 60~70g
정도가 적당하다.
덩이뿌리는 부위에 따라 위에서부터 묘두(苗頭 ), 둔부(頭部), 동부(胴部), 미부(尾部)로 나누며 묘두부분
은 가늘고 동부에서 부터 굵어지는데 묘두에서부터 미부로 갈수록 싹트는 기간은 길어지나 수량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쪼갠덩이뿌리는 병균감염의 방지를 위하여 베노람수화제를 분의 소독하고,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서 1~2일 말린다음 심으면 발아율이 높아진다.
영여자육묘는 안전월동이 가능한 곳에서 수확당년 가을(10월)이나 이듬해 봄(4월)에 심을 수 있으나,
중부이북지방에서는 이듬해 4월상순~중순에 묘포를 만들어 심는데 묘포의시비량은 300평당 질소 15kg,
인산kg, 칼리kg으로 하고 깊이 갈아 흙을 고른다음 이랑 사이 30cm, 포기 사이 5~10cm간격으로 한알씩
심는데 파종후 복토는 3cm정도로 하고 가볍게 진압, 덩굴이 30cm정도 자라면 지주나 줄을 매어 덩굴
올리기를 하고, 정식은 중북이북지방에서는 4월중순경에 심는다.
거름은 300평당 퇴비3.6톤, 질소43kg, 인산28kg, 칼리32kg, 석회200kg을 주되 퇴비와 석회는 전량을
밑거름으로 하며 질소, 인산, 카리는 각각 19kg, 17kg, 16kg만 밑거름으로 주고 나머지는 웃거름으로
준다. 1회 웃거름은 6월하순에 질소 13kg, 인산 11kg, 칼리10kg을, 2회 웃거름은 7월중순에 질소 11kg,
칼리6kg을 시용한다.
두둑을 높게 해야 덩이뿌리의 발육이 좋고 수확하는데도 쉽다.
비닐피복이나 볏집의 피복은 토양수분유지와 지나친 고온을 막을수 있어 효과적이나, 토양수분이 과다할
때는 삼가해야 한다. 수확 및 조제에서 수확시기는 낙엽이 진후 또는 이듬해 봄(남부)에 수확한다.
저장할 씨뿌리나 영여자와 생식용마는 그늘에서 2~3일 예비저장하고 적당한곳에 저장하거나 구덩이를 파고
모래에 묻어 움저장을 한다. 저장온도는 건조하지 않은 곳에 5~12℃가 좋으며 영여자(零余子)는 9~10월
서리가 오기전에 수확하여 11월말~12월초에 저장한다.
![]() ![]() ![]() |
마 재배때 볏짚· 검은비닐 피복하면 수확량 15~30% 늘어난다.
- 둥근 마는 수분함량 많은 논재배 유리
마를 재배할 때 볏짚 또는 검은색 비닐로 피복하면 수량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둥근 마의
경우 밭재배보다 논재배의 수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익산시농업기술센터가 올 3월부터 마 피복재배를 실험한 결과, 볏짚 피복시는 10a(300평)당 1,020㎏,
검은색 비닐 피복시는 900㎏의 수확량을 기록해 무피복 재배 때의 780㎏보다 31%와 15%가 증가했다.
정정임 익산시농업기술센터 지도사는 “마 종근을 파종한 후 곧바로 피복재를 사용했다”며 “피복이 밭의
잡초를 억제하는 것은 물론 수분을 유지하고 토양이 딱딱하게 다져지는 것을 방지해 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충북 충주시농업기술센터는 둥근 마의 경우 밭보다 논에서 수량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안문환 충주시농업기술센터 지도사는 “둥근 마의 경우 밭재배시 평균 수량
이 10a당 1,400㎏이지만, 논재배할 경우 이보다 150~200㎏ 정도 수량이 증가했다”며 “둥근 마의 특성상
토양수분이 많은 논이 밭보다 유리하다”고 말했다.
익산 ☎063-850-4725. 충주 ☎043-850-6654.
'채소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황농법 (0) | 2012.03.21 |
---|---|
각종 밭작물 관리 요령 (0) | 2012.03.18 |
대나무 재배 (0) | 2012.03.11 |
나물로 먹을 수 있는 나뭇잎 (0) | 2012.03.10 |
화살나무(혼잎나무, 참빗살나무)의 효능 (0) | 201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