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의 근본 원인은 수면부족에 있는 것이 아니고 육장 육부에 있으며, 그 종류는 총 9종이나 된다.
1) 간, 담이 허약한 현맥 두통으로 머리 측면으로 지나는 족소양 담경에 통증이 나타나며, 일명 "편두통" 이라고 한다. 원인이 간장과 담낭에 있으므로 간, 담의 정기를 보하는 팥을 집중적으로 식사하면 빠르게 완치된다.
2) 심포삼초가 허약한 심포삼초 구맥 두통으로 수 소양 삼초 경락이 지나는 미릉골에 두통이 생기며, 일명 "미릉골통" 이라 하며, 옥수수, 녹두를 집중적으로 식사하면 쾌유할 수 있다.
3) 비장과 위장이 허약하여 홍맥이 나오는 두통으로 이마로 지나는 족양명 위경에 통증이 있으며, 일명 "전두통" 이라고 한다. 기장쌀을 집중적으로 식사하면 된다.
4) 신장과 방광이 허약하여 생기는 석맥두통으로 "후두통, 정두통"이라고 한다. 족 태양 방광경이 지나가는 후두부, 정두부에 통증이 있다. 신장과 방광의 정기를 보하는 쥐눈이콩, 해조류를 집중적으로 식사하면 빠르게 쾌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경팔맥 두통으로 4종이 있으며 특징은 진통제로는 통증이 가시지 않는다.
5) 대맥두통 - 간장과 담낭이 극도로 허약하여 인영에서 현맥 4~5성이 촉지되는 두통으로 머리 전체에 극심한 통증이 있다. 원인은 간장과 담낭에 있으므로 팥을 비롯해서 신맛, 고소한 맛이 있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먹어 현맥 4~5성이 없어져야 두통이 없어진다.
6) 독맥두통 - 심장과 소장이 극도로 허약하여 인영에서 구맥 4~5성이 촉지되며, 평소 심장과 소장이 약한 증상들이 두루 나타난다. 통증의 특징은 극심한 통증과 함께 머리가 반으로 갈라지는것 같다고 하기도 한다. 심장과 소장의 정기를 보하는 수수쌀과 쓴맛이 나는 식사를 집중적으로 하여 구맥 4~5성이 없어져야 완쾌된다.
7) 양교맥 두통 - 신장과 방광이 극도로 허약해져 인영에서 석맥 4~5성이 촉지되며, 특징은 극심한 두통과 함께 골속이 흔들린다고 한다. 신장과 방광의 정기를 보하는 쥐눈이콩, 두부, 된장, 해조류를 집중적으로 식사하여 석맥 4~5성이 없어지면 통증이 씻은듯이 사라진다.
8) 양유맥 두통 - 심포장과 삼초부의 병이 깊어져 인영에서 심포삼초 구맥 4~5성이 촉지되며, 특징은 극심한 두통과 함께 욱신 욱신 쑤시는것 같기도 하고, 전기가 오는 것처럼 찌릿,찌릿 하기도 한다. 심포, 삼초의 정기를 보하는 옥수수, 녹두와 떫고 담백한 맛이 나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식사하여 심포삼초 구맥 4`~5성이 없어져야 두통이 없어진다.
9) 냉두통 - 원래 "두무냉통" 이라는 말은 한의학의 원칙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머리가 차서 두통이 생기는 경우는 허다하며, 이때 의학적인 진단을 세밀히 하면 "뇌종양" 이나 "뇌염" 등의 진단이 내려져 뇌수술을 하기도 한다.
- 자연의 원리에 의한 분석에 의하면 인영맥(심장에서 뇌로 가는 동맥)에서 뇌의 혈류량과 양기를 측정하고 촌구맥(손목부위 동맥으로 몸통으로 가는 혈류량과 음기를 측정)에서 몸통과 사지로 가는 혈류량을 측정하는데 냉두통의 경우는 인영맥이 거의 없어 뇌속으로 공급되는 혈액과 양기가 지극히 부족하여 머리의 모든 세포나 기관은 냉해지고 또 냉하므로 수축되고 긴장되어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두무냉통" 의 원칙을 적용하여 진통제와 성질이 찬약을 주면 점점 더 악화되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 회복하는 방법은 머리로 피가 많이 순환되게 하여야 하는데 통증의 응급조치로는 항상 머리를 따듯하게 하는것이 급선무이며(수건 혹은 모자착용), 육장 육부의 정기를 보하는 육미의 음식을 먹고 체질과 맥에 따라 육미의 음식을 가감하며, 적당한 운동이나 활동을 꾸준히 하여 몸을 덥게하면 뇌속으로 흐르는 혈액의 양이 차차 증가하여 두통이 사라지게 된다. (인삼을 조금씩 매일 먹는 것도 매우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도움이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 포진, 대상 포진 (0) | 2017.05.25 |
---|---|
변비 (0) | 2017.05.25 |
소변 이상, 요실금 (0) | 2017.05.25 |
수족구병 (0) | 2017.05.25 |
비염 (0) | 201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