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은 이미 경북 의성·군위·영양·청송군, 경남 합천·남해군, 전북 임실군, 전남 고흥군 등은 이런 생활 기반시설들이 무너지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한다. 지방자치단체 소멸의 가능성은 수치로도 파악된다. 2017년 3월 기준으로 소멸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지자체는 경북 의성군이 꼽힌다. 의성군의 경우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는 2만119명에 달하지만, 20~39세 여성 인구는 3250명에 불과하다.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눠보면 0.161이라는 수치가 나온다. 가임기에 속하는 젊은 여성들 인구수가 노인의 16%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이처럼 '20~39세 가임기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로 나눈 수치를 지자체 소멸위험지수라 부른다. 대개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즉 노인 인구가 가임기 여성의 두 배를 넘으면 소멸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부양해야 할 노인은 많은데 신생아는 적으니 시간이 흐를수록 인구가 급감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3월 기준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곳은 37%인 85곳이다. 경북 의성군(0.161)에 이어 전남 고흥군(0.169), 경북 군위군(0.177), 경남 합천군(0.178)과 남해군(0.183)이 현재로선 소멸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도움이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호! (0) | 2017.12.28 |
---|---|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0) | 2017.12.28 |
인구 증가 시군 (0) | 2017.12.26 |
발가락 및 발 부위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맛 치료법 (0) | 2017.12.13 |
발가락별 통증 - 맛으로 완치하기 (0) | 2017.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