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기르기

고수 재배

남전 2012. 4. 16. 13:20

(모셔온 글)고수 재배    농사 2009/09/12 21:34


 
특징

 

 1. 고수(코리안더)는 남유럽,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미나리과에 속하는 일년초이다.

 2. 향신채(Herb) 가운데 채소로서의 재배역사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북한에서는 그 소비가 많다.

 3. 어린잎은 넓고 둥글지만 나중에 세 갈래로 갈라져 자란다.

 4. 처음먹을 때는 빈대냄새가 나지만 3~4번 먹으면 그 맛에  익숙해져서 자연스럽게 먹을 수가 있다.

 5. 녹색의 윤기 있는 줄기는 가늘게 갈라지고 잎도 작게  나눠지며 흰색이나 분홍색의 작은 꽃이 핀다.

 

재배기술

 1. 고수를 재배하는데는 특별한 조건이 요구되지 않을  정도로 환경 적응성이 높다.

 2. 햇빛을 잘 받는 비옥한 토양이면 잘 자라고 석회가  함유된 땅이면 더욱 좋다.

 3. 충해는 적으나, 병해로는 흰가루병, 풋마름병  등이 있어 이의 예방에 힘써야 한다.

 

  이용방법

 1. 잎을 이용할 때는 지상부가 15Cm정도 자라면 포기째 뽑는다.

 2. 말린 잎은 카레(Curry)의 원료로 쓰이고, 생선요리에  넣어 먹으며, 어린잎은 수프, 샐러드, 쌈에 이용된다.

 3.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향채이나 어린 잎에서  빈대냄새가 나므로 싫어하는 사람은 역겨울 정도로 싫어한다.

 4. 중국, 태국, 베트남 요리에는 없어서는 안되는  향채로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일상적으로 먹는다.

 5. 잎과 씨의 향이 다르며 씨는 산뜻하고 달콤한 향이 있다.

 

  재배 시 유의사항

 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양호한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씨앗뿌리기는 봄과 가을에 하며 씨앗뿌리기 전에 열매를  두개로 갈라지게 한 뒤 하루정도 물에 담그어두었다가

 파종하면 발아가 용이하고 물에 불려 파종한 씨앗은  발아적온 15~20도에 10일정도 소요되며, 물에 불리지

 않은 씨앗은 약 3주정도 후에 발아한다.

 

그러다가 귀농 후 뜻밖에 고수를 다시 만나게 되었다. 귀농한 지 얼마 안 돼 아랫마을 이장님과 함께 고기를 먹는데 이상하게 생긴 쌈채소가 있기에 “이게 뭐예요?” 했더니 씨익 웃으며 “이거? 고수야, 고수. 고수 못 먹으면 여기 사람 아니지.” 하신다.

맛을 보니 태국에서 먹었던 바로 그 ‘팍지’다. 특이하게도 무주 진안 장수 같은 전라도 일부 산간 지역에선 고수를 즐겨 먹는다고 한다. 특히 고기 구워 먹을 땐 빠뜨리지 않고 곁들이는 야채라나. 이장님은 ‘요 서울 촌놈아, 고수 못 먹겠지?’ 하는 표정으로 빙글빙글 웃으며 먹나 못 먹나 지켜보고 있다. 오기가 나서 일부러 우적우적 계속 입에 넣었다. 이렇게 해서 맛들이기 시작한 고수를 지금은 너무나 좋아하게 되었으니, 이제 나도 여기 사람이 다 된 게다.

 

고수풀은 원산지인 지중해 인근뿐만 아니라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전지역에서 즐겨먹는 허브라고 한다. 위에 좋아 소화를 돕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신경 안정제로서의 효과가 탁월해 한국에서는 산에서 수련하는 사람들이 주로 먹었다고 한다. 북한과 전북 일부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다. 서울에서도 백화점 허브 코너나 허브샵에 가면 ‘코리앤더’라는 영어 이름을 달고서 아주 비싸게 팔린다. 처음 맛보면 거부감을 갖는 경우가 많으나 몇 번 먹다보면 광적으로 중독되는 사람들이 많다.

 

나 역시 그런 고수 중독자 중 하나인지라 직접 한 번 재배해보고 싶어 올 봄 처음으로 씨를 뿌려보았다. 씨 뿌리고 3~4주 기다리자 고수가 예쁘게 싹을 틔우고 자라났다. 직접 밭에서 뽑아 먹으니 향기와 맛이 더욱 좋다. 원래 혼자만 먹으려고 재배했으나 흔히 보기 힘든 귀한 야채인데 가족 회원들도 맛이나 한 번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번 주에 한번만 고수풀을 발송하기로 했다. 물론 고수 향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 같아 아주 소량씩만 넣었다. 다행히 아직까지는 “냄새가 너무 이상해요. 고수풀 다시는 보내지 말아주세요” 같은 항의는 들어오지 않고 있다. 모두들 어떤 표정을 지으며 고수 맛을 보았는지 조금은 궁금해진다.

'채소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평농법 재배법(아)  (0) 2012.04.16
태평농법 재배법(사)  (0) 2012.04.16
태평농법 재배법(바)  (0) 2012.04.16
태평농법 재배법(마)  (0) 2012.04.15
완두콩 재배  (0) 2012.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