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빵이다 서양인은 같은 나이의 동양인보다 훨씬 늙어 보인다. 이유가 무엇일까? 나의 연구에 의하면 밀가루 음식인 빵이 원인이다. 만성피로와 골다공증, 복부 지방을 걱정하고 있다면 먼저 밀가루부터 끊어라. 밀가루는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 밀 한 알에는 쌀에 비해 40배나 많은 DNA 이중나선이 ..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4.26
SBS [취재파일] "수입 고기가 어때서"..힘 빠지는 '신토불이' - 농수산물 역시 국내산이 파격적으로 비싼 만큼 과연 그 품질에서 외국산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느냐는 의문이 많이 확산됐다. 수산물을 예로 들면 서해에서 중국 배와 한국 배가 잡은 생선이 뭐가 다르기에 몇 배의 가격차이가 발생하느냐는 것이다. 우리는 달러를 벌기 위해 7,80년대에 ..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3.13
경락의 신비-손가락, 발가락 경락(經洛)의 신비 0. 가운데 손가락에 수궐음심포경락(手厥陰心包經洛)이 흐른다. 0. 제3의 눈을 개척함은 곧 별유천지비인간(別有天地非人間)의 무릉도원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0. 경락은 살아 움직이는 의식과 감정의 통로이다. 0. 사람이 촘촘히 들어찬 공간에서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는..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3.09
혼자 놀 줄 모르면 귀촌해도 스트레스 [더,오래] 혼자 놀 줄 모르면 귀촌해도 스트레스 입력 2018.03.04. 01:03 수정 2018.03.04. 07:28 - 트렌드 코리아 2018은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키워드로 '워라밸'을 꼽았다. 요즈음 유행하는 단어 중에 ‘워라밸’이 있다. 일(Work)과 생활(Life)의 밸런스(Balance)를 맞추자는 뜻으로 앞 자를 따왔다. 일과..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3.04
한국에서 러스트벨트는 어디인가? - 한국의 PK(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지역이 러스트 벨트의 전철을 밟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부산은 제 2의 도시로써 현재는 서비스 산업 위주의 소비도시가 되었지만 한 때 세계의 신발 공장으로 불리며 나이키, 리복 등 세계 굴지의 신발 브랜드의 OEM 생산기지였다. 80..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3.02
한반도 사막화 진행?? - 환경문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북한은 이미 과도한 경작과 산림 파괴로 토양이 피폐해지고 있는 데다 기후변화까지 겹쳐 통양이 사막화되고 있다. 건조지역이 DMZ를 넘어 한국 땅까지 영향을 미치면 가뜩이나 심각한 불부족 사태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한국 정부가 아무..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2.28
본디 책이란 무엇인가? - 본디 책이란 무엇인가? 종이와 벼루는 농토고, 붓과 먹은 쟁기와 호미며, 문자는 씨앗이니라. 하여 책은 양식과 같다. 세 치 혀가 백 명의 청중을 헤아린다면 귀한 서책은 후대에 전해져 십만 백만에게 강기(剛氣)를 심어준다. <비취록> 조완선 지음 중에서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2.27
북한은 왜 그토록 핵무기 개발에 집착하는가? - 북한은 왜 그토록 핵무기 개발에 집착하는가? 그리고 현 상황에서 핵무기를 포기할 이유나 가능성이 있는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북한이 핵을 보유하려는 이유가 무엇이냐에 따라 포기 가능성도 달라진다. 우선 안보용이다. 재래식 무기의 열세를 핵무기로 극복하려는 의도로 보는 견해.. 카테고리 없음 2018.02.26
한국과 중국만 일본을 깔본다. - 또 한 가지 알아두어야야 할 사실은 세계적으로 일본은 꽤 환영받는, 많은 이가 매력을 느끼는 나라라는 점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이미지는 매우 좋은 편이다. 일본을 부정적으로 보고 우습게 보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과 치열..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2.26
중국이 미국을 넘어설 수 있을까? - 중국이 미국을 넘어 세계 질서를 주도할 거란 전망에 설득력이 있으려면 반대 현상이 일어나야 하지 않을까. 즉, 중국의 엘리트들이 미국으로 밀려드는 것이 아니라 중국으로 몰려가야 팍스 시니카의 도래를 예단이나마 해볼 수 있을 것이다. 과연 이러한 현상이 20, 30년 안에 일어날까?.. 도움이 되는 이야기 2018.02.26